반응형 혼자집짓기/집짓기 알아야할것35 전, 답, 임야, 대지의 차이 전 : 물을 상시적으로 이용하지 않고 곡물·원예작물(과수류는 제외한다)ㆍ약초ㆍ뽕나무ㆍ닥나무ㆍ묘목ㆍ관상수 등의 식물을 주로 재배하는 토지와 식용(食用)으로 죽순을 재배하는 토지입니다. 답 : 물을 상시적으로 직접 이용하여 벼ㆍ연(蓮)ㆍ미나리ㆍ왕골 등의 식물을 주로 재배하는 토지입니다. 임야 : 산림 및 원야(原野)를 이루고 있는 수림지(樹林地)ㆍ죽림지ㆍ암석지ㆍ자갈땅ㆍ모래땅ㆍ습지ㆍ황무지 등의 토지입니다. 주로 산지를 이야기함 대지 : 영구적 건축물 중 주거ㆍ사무실ㆍ점포와 박물관ㆍ극장ㆍ미술관 등 문화시설과 이에 접속된 정원 및 부속시설물의 부지, 택지조성공사가 준공된 토지 지목의구분 - 생활정보 지목이란 토지의 주된 용도에 따라 토지의 종류를 구분하여 지적공부에 등혹한 것을 말합니다. 지목의 종류 지목은 전ㆍ.. 2022. 3. 28. 건폐율과 용적률에 대해서 건폐율 : 대지면적에 대한 건축면적의 비율입니다. 예를 들어 대지가 100㎡이고 건폐율이 60%라면 건축면적이 60㎡ 가 됩니다 나머지 40%는 공지인데 현실적으로 40%의 공지를 느끼지 못한 경우가 많습니다. 그것은 건축물을 인접 대지경계선에서 일정한 거리를 띄워야 하는 문제로 인하여 실제 느끼는 공지는 얼마 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건축면적은 건축물의 수평투영면적 중 가장 넓은 층의 면적입니다. 그러나 이 또한 건축물의 형태가 복잡,다양하여 처마나 차양, 주택의 발코니 등 외벽으로부터 튀어나온 것은 튀어나온 끝부분에서 1M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만 건축면적으로 인정하고, 주택 외 건축물의 발코니는 전부 건축면적에 포함토록하고 있는 등 기타의 경우들이 있습니다 용적률 : 용적률은 대지면적에 대하여 지하층을.. 2022. 3. 28. 서울시에서 제공하는 그림으로 이해하는 건축법 총용량이 무료 84M에 달하는 엄청난 규모의 자료집인데 다 살펴보기는 좀 무리가 있는것 같고 원하는 부분만 골라서 보면 좋은 자료라고 생각됩니다. 저도 다 보기에는 힘겨워서 원하는 부분만 골라보고 있습니다 ;; http://ebook.seoul.go.kr/Viewer/QGBIRM3E1K7Q 그림으로 이해하는 건축법 Searching...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텍스트 정보가 없는 컨텐츠이거나, 이미지 파일로 제작된 컨텐츠는 검색이 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ebook.seoul.go.kr 제1장 건축법의 개념과 범위 15 1. 연간 약 187조 원에 관여하는 건축법 15 2. 건축법을 이해하는 3가지 범위 16 3. 우리나라 건축법의 특징 19 4. 이웃관계 규정으로 접점이 있는 건축법과 민법 20 제2장.. 2022. 3. 27. 혼자집짓기전 주택의 상세도면이 보고 싶을때 농촌주택표준설계자료를 참조하세요 귀농귀촌종합센터 라는 홈페이지에서 농촌주택표준설계자료를 다운로드해서 볼 수 있습니다 이걸로 집을 짓는다는 것은 아니고 상세도면을 참조해보고 싶을때 살펴보면 좋습니다 자세하게 잘 나와있네요 귀농귀촌종합센터 농촌주택표준설계자료 페이지 바로가기 1. 들어가셔서 마음에 드는 도면을 선택합니다 2. 해당 주택의 열람용과 인허가용 압축파일 다운로드 3. 열람용 파일 예시. 이런파일들이 잔뜩 들어있습니다 4. 인허가용 도면인데 이건 예시이고 인허가에 필요한 도면이 다 들어있습니다 2022. 3. 17. 이전 1 ··· 5 6 7 8 9 다음 728x90